한국사회 근대화와 민주화, 민족독립운동에 앞장섰던 한국 개신교의 업적과 활동이 현행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는 3줄로 서술된 것에 그쳤다.
불교와 유교, 도교, 풍수지리에 이르는 타 종교 서술이 여러 페이지에 걸쳐 기술된 것과 비교할 때,
이 같은 서술방식은 기독교에 대한 심각한 종교 편향과 역사 왜곡이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한기총, 한장총, 한교연 및 한국교계 국회 평신도 5단체 협의회 등 연합기관들로 구성된 ‘한국기독교역사교과서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가 8일 오전
한국기독교연합회관 3층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사 교과서의 종교편향 실태를 보고하고 이에 대한 근본 대책을 마련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각 단체 대표회장이 참석한 기자회견에서 전문대책위원장 박명수 교수(서울신대)가 2014년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을 비교 조사한 결과,
불교와 천주교, 동학, 정감록 등 타 종교에 비해 기독교에 대한 서술 분량이 극히 적었다고 발표했다.
일례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미래엔’ 출판사 교과서의 경우, 불교는 삼국시대와 신라, 고려시대에서만 6페이지에 걸쳐 종파의 도입과 역할,
사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조선 후기엔 천주교, 천도교, 정감록이 2쪽에 걸쳐 각각의 제목으로 서술돼 있다.
반면 개신교의 경우 단 3줄에 그쳤다. 그마저도 천주교와 뭉뚱그려 기술됐다.
박명수 교수는 “역사교과서에 개신교는 딱 한 줄 나온 것이다.
미래엔 교과서만 그런 것이 아니다. 대부분의 8종 교과서에서 불교와 유교는 각각 5쪽씩 나와도 개신교는 3~4줄에 그쳤다”고 말했다.
공대위는 이 같은 결과가 정부에서 발표한 역사교과서 ‘교육과정’에 기독교에 관하여 서술하라는 항목이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공대위는 “지난 6월부터 청와대, 교육부 등에 역사교과서 교육과정의 개정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지난 9월 23일 발표된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도 모든 종교는 다 언급되고 있는데 오직 기독교만 단 한 단어도 나오지 않았다”고 공분했다.
공대위는 역사교과서 개발 지침이 되는 정부의 ‘집필기준’에는 반드시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보완해 개신교 서술 항목을 삽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집필기준'은 확정돼 있지 않은 상태다.
한기총 이영훈 대표회장은 “역사는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사실 기술이 주 목적이다.
기독교를 더 넣어 달라는 요구가 아니다. 역사 속 내용이 의도적으로 삭제된 것을 객관적 사실과 형평성에 맞게 있는 그대로 서술해 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회평신도5단체협의회 김영진 상임대표는 “한국사회 역사에서 기독교는 실로 엄청난 역할을 해왔다. 이것을 묵과하고 왜곡된 사실을 전한다면, 일본에 역사 왜곡하지 말라고 할 자격도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