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인도 선교 전략을 논의하고 국내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포럼이 열렸다. 지난 22일 오전 서울 상도제일교회에서 열린 북인도선교포럼은.
북인도에서 ‘R 7 to 7’ 사역을 펼치고 있는 이윤식.이춘경 선교사 는 “그동안 북인도 선교사가 한국교회와 협력해 포럼을 개최한 경우는 아마도 없었을 것”이라며
“북인도 지역을 섬기고자 하는 선교사들을 발굴하고, 사역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이번 포럼을 준비하게 됐다”고 밝혔다.
지난 2004년부터 GMS 파송 선교사로 인도에서 사역하고 있는 이윤식 선교사는 북인도를 7개 권역으로 나눠 지역훈련학교를 세운 후,
현지인 리더를 훈련시켜 교회를 개척하는 ‘R 7 to 7’ 사역을 펼치고 있다.
이동 신학교의 개념인 지역훈련학교는 사역자들이 자신의 사역지를 떠나지 않고도 훈련을 받을 수 있으며,
선교사가 아닌 현지인 코디네이터들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게 특징이다.
이 선교사는 “인도는 12억이 넘는 전체 인구 가운데 80%가 힌두교 신자이며, 무슬림이 1억 4천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이슬람 인구가 많은 나라”라며
“무엇보다 카스트 제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어야 한다. 계급에 따라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인도에는 약 4,500여 개의 카스트를 중심으로 수많은 종족들이 있다. 최상위 계급인 브라만 출신의 기독교인들이 있지만,
15세기 이후 낮은 계급의 개종이 늘면서 교회 안에서 카스트 간 갈등이 빚어지기도 한다.
이 선교사는 “인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교회를 ‘낮은 카스트가 모이는 곳’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며
“상층 카스트에게 접근하는 방법을 개발하되 낮은 카스트의 사회적 영향력을 높이는 방안을 통해 복음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현재 남인도의 경우 20~30%의 복음화율을 보이고 있는 데 반해 북인도는 2%가 채 안 되는 도시가 대부분인 미전도종족 지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선교사는 인도 선교에 희망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현지인들이 복음을 들을 준비가 돼 있고, 교회개척운동도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여러 계층의 사람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복음이 증거되고 있다”며
“8만 명의 자국민 선교사들의 사역, 지역교회와 지도자들의 성장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교회개척과 함께 다양한 선교 전략을 마련하고 리더십을 키우기 위해서는 탄탄한 지원 기반이 돼 줄 수 있는 네트워크가 절실하다.
이에 이 선교사는 ‘R 7 to 7’ 사역에 협력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북인도선교회(가칭) 설립을 추진한다.
북인도 선교에 관심 있는 목회자들, 선교사 후보생, 평신도 후원자, 선교사 파송 교회들을 중심으로 조직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포럼 개최 △단기사역 개발 △선교사 발굴 및 준비 △NGO 설립 등을 해나갈 방침이다.
그는 “지난 10여 년 간 지속돼 온 ‘R 7 to 7’ 사역을 한국교회와 공유할 때가 된 것 같다”며
“힌두권 선교전략을 효과적으로 세우고, 한국교회의 협력 기반을 다져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단기선교팀을 통해 현지 개척된 교회의 사역에 힘을 실어주는 단기사역 모델과 방법을 개발하는 한편,
선교사훈련학교 운영을 통해 선교사를 발굴하려고 한다”며 “콘텐츠, 재정, 인력 등을 지원할 수 있는 NGO 설립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