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심 지하공간 '맞춤형 관리' 추진
市 내년 7월까지 19개지역 관리 기본계획 수립
내년 하반기에 서울 도심을 비롯한 주요 지역별 지하공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 기본계획이 수립된다.
서울시는 무분별한 지하공간 이용을 방지하고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내년 7월까지 시내 주요 지역 19곳에 대한 지하공간 관리 기본계획을 만들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시는 집중관리(3곳), 전략관리(5곳), 유도관리(11곳) 등 3개 지역으로 구분하고 늘어나는 지하공간 이용수요에 걸맞은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기본계획 수립에는 7억2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집중관리 지역은 도시 기본계획상 도심부 도심 지역이다. 현재 거론되는 곳은 을지로 등 도심 일대, 강남 테헤란로 일대, 영등포, 청량리 등이다.
전략관리 지역은 대규모 개발이 이뤄져 전략적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상암, 수색 등이 검토되고 있다.
유도관리 지역은 역세권 중심으로 지하공간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창동, 상계동 등 11곳이 거론되고 있다.
시는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이르면 다음달께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시는 용역을 통해 지하이용 현황 및 관련 계획 조사ㆍ분석,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공간배치, 심도(깊이)별 도입시설 등 지하공간 활용계획을 도출한다.
또 공공시설과 민간 시설 간 연결 계획,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가이드라인 등도 마련할 방침이다. / 민경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