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두 달 연속 6%대 상승

05월 09일(금)

홈 > 일반뉴스 > 경제/IT
경제/IT

소비자물가 두 달 연속 6%대 상승

   

2022.07.30 18:38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정부가 농산물 가격 상승 등으로 7월 소비자물가가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6%대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29일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제4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열고 "7월 소비자물가는 장마·폭염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지난달에 이어 6%대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6.0% 올랐다. 이는 외환위기 시기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었다.

방 차관은 "어려운 물가 여건이 지속되고 있지만 조금씩 긍정적인 신호들도 나타나고 있다"며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이 어제 기준 1915원으로 하락했고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도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그는 현재와 같은 휘발유 가격 하락세가 이어진다면 다음 주에 약 5개월 만에 1800원대에 진입할 수 있을 거라고 전망했다.

다만 방 차관은 "국제가격 하락이 국내에 반영되기까지 시차가 소요되며 추석 성수품 수요에 따른 가격불안 요인도 상존한다"며 "비축물량 조기 방출 등 농·축·수산물 공급 확대, 할인행사를 비롯한 추석 민생안정 대책을 8월 중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또 축산물 할당 관세 추진상황을 점검해 관계기관 합동 현장점검반을 중심으로 주요 축산물 가격 동향을 매일 관찰하겠다고 밝혔다.

방 차관은 "주요국 금리 인상이 가속화되고 미국과 중국의 성장 둔화 등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하절기 냉방 수요 등으로 에너지 수입이 급증하고 있어 7월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발표한 과제 이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종합적인 수출 지원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

기사에 대한 의견

댓글 TOP 뉴스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