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銀 외화 712억弗 확보…경제위기 대응 차원
작년에만 90억弗 추가확보…역대 3번째 규모
日ㆍ中ㆍ호주ㆍ싱가포르 등으로 자금 다변화
2011년 말 기준으로 국내 시중은행들이 확보해둔 장기 외화자금이 712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11년 한 해에만 91억달러를 새로 확보했다. 시중은행들이 세계경제 위기에 따른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실탄'을 확보해둔 것이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1년 말 기준 시중은행들이 발행한 국외채권 규모는 554억달러에 달했다. 2010년 말(489억달러)에 비해 65억달러나 늘어났다.
1년 이상 장기외화차입 규모도 2010년 말에는 132억달러에 그쳤으나 2011년 말에는 158억달러로 26억달러나 더 늘어났다.
국외채권과 장기외화차입을 합한 `외화자금' 규모는 2011년 말 712억달러에 달했다.
특히 2010년 말에 비해선 2011년 한 해 동안 91억달러나 증가했다. 이는 연간 증가 규모로는 역대 3번째다. 그러나 2011년 증가분은 다른 때와는 성격이 판이하다.
한 해 차입자금 규모가 가장 컸던 때는 2007년으로, 당시는 금융시장이 호황을 누리면서 은행들이 영업확대를 위해 공격적인 경영에 나선 때였다.
이어 1996년 한 해 차입규모는 99억달러로 2번째다. 당시는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를 불과 한 해 남겨놓은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국내 외화자금이 부족해 차입이 불가피했을 것이라는게 한은측의 설명이다.
반대로 2011년은 국내 은행들의 업황이 나쁘지 않았지만 세계경기가 둔화 조짐을 보임에 따라 은행들이 선제로 실탄 확보에 나섰다는 점에서 과거와는 성격이 달라 보인다고 한은 관계자는 설명했다.
특히 2011년 한해 늘어난 91억달러는 모두 장기자금이어서 자금 운용에도 안정성이 있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에는 은행들이 단기자금을 차입한 뒤 만기로 전환해 이윤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만기 불일치에 따른 자금 운용 압박으로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2011년 새로 들여온 자금들은 모두 1년 이상 장기자금이어서 만기 불일치에 따른 위험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지난 1월20일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주재로 열린 금융협의회에 참석한 시중은행장들은 "유럽 채무위기 확산 등으로 국제 금융시장이 더욱 악화할 때에 대비해 올해 상반기 중 필요한 외화유동성을 이미 확보했으며, 시장 상황을 봐서 될 수 있으면 조기에 연내 소요예상액 전액을 추가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계적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시중은행들이 외화자금 확충에 적극적으로 나설 태세여서 2012년 시중은행의 외화자금 보유액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협의회에서 은행장들은 "최근에는 외화차입처를 호주, 말레이시아, 브라질, 일본 등으로 다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자금 다변화에 나서고 있음을 예고한 것이다.
실제로 2010∼2011년 시중은행의 신규 국외채권 발행 규모를 보면 미국 달러화는 2010년 104억9천만달러였다가 2011에는 93억달러로 오히려 11억9천만달러 줄었다.
반대로 일본 엔화는 21억달러(2010년)에서 38억달러(2011년)로 17억달러나 크게 늘었고, 중국 위안화와 스위스 프랑 등 `기타통화'를 통한 발행도 31억9천만달러(2010년)에서 38억6천만달러(2011년)로 6억6천만달러 증가했다.
특히 엔화 외에도 싱가포르 달러화를 통한 발행은 6억6천만달러(2010년)에서 11억7천만달러(2011년)로 5억2천만달러나 늘었고, 태국 바트화 역시 3억9천만달러(2010년)에서 6억7천만달러(2011년)로 2억8천만달러 증가했다.
전통적으로 선호해오던 미국 달러화는 많이 줄어든 반면에 엔화ㆍ링기트화ㆍ싱가포르달러화 등으로 자금 다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달러화가 안전자산이기는 하지만 미국 경기가 좋지 않은 점을 고려해 국내 은행들이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다양한 국가를 통한 자금다변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민경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