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합의 공동보도문

10월 16일(목)

홈 > 일반뉴스 > 정치
정치

남북 합의 공동보도문

   

2015.08.25 16:51 입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북한이 경기도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 것은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이례적인 행동이다.

특히 공동 보도문에 유감 표명의 주체를 ‘북측’으로, 피해자를 ‘남측 군인’으로 명기한 점은 전향적인 자세로 평가받는다.

다만 세부적인 문구에는 모호한 측면이 있어 아쉬움을 남긴다.

북한은 25일 남북고위급 회담 타결 후 발표한 공동 보도문에서

‘북측은 최근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남측지역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로 남측 군인들이 부상을 당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였다’고 명시했다.

북한은 과거 도발에 대한 유감 표명 시 주체를 ‘남과 북’ 등으로 뭉뚱그려 표기하거나, 남측이 원인을 제공했다는 식으로 내용을 호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엔 주체와 피해자, 사고 내용을 비교적 명확하게 적시했다.

북한이 도발 주체임을 스스로 인정한 것은 1996년 강릉 잠수함 침투 사건 이후 처음이다.

다만 그때는 사과의 주체가 ‘북한 외무성 대변인’ 명의였지만 이번엔 ‘북측’으로 명기돼 진일보했다는 평가다.


치열한 신경전의 흔적도 묻어났다. 우선 통상적인 합의문이 아닌 공동보도문 형태로 결과를 발표한 게 눈길을 끈다.

양측 최고위급이 직접 협상을 타결한 만큼 엄격한 합의문보다는 서로 다소의 재량을 인정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북한은 타결 직후 ‘준전시상태’ 해제 시점을 ‘확성기 방송 중단과 동시에’로 못 박았다.

이는 우리 측 보도문에 해제 시점이 명기되지 않은 것과는 차이가 있다.

정부 당국자는 “합의 내용 등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공동 발표가 좋겠다는 이심전심의 공감대가 있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형식보다는 내용에 초점을 맞췄다는 의미로 읽힌다.

고조된 군사적 긴장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남북 군사회담의 재개 가능성도 점쳐진다.

|

기사에 대한 의견

홈 > 일반뉴스 > 정치
정치
Hot

인기 미 합참의장 한·미 양국 군 대비태세 점검.

2017.08.13 |
Hot

인기 박근혜 대통령 탄핵 가결

2016.12.09 |
Hot

인기 새누리당 중진의원 연석회의

2016.05.20 |
Hot

인기 정신차리자 한순간 훅 간다.

2016.02.29 |
Hot

인기 황준국 주영국 대사 등 신임장 수여.

2016.02.29 |
Hot

인기 더불어민주당 조경태 의원 탈당

2016.01.19 |
Hot

인기 박대통령 새해 첫 일정 국립현충원 참배.

2016.01.01 |
Hot

인기 한일 관계

2016.01.01 |
Hot

인기 14대 대통령 김영삼 장로 서거.

2015.11.24 |
Hot

인기 박대통령 전국여성대회 참석

2015.10.29 |
Hot

인기 문재인 책임 재보궐 전패

2015.10.29 |
Hot

인기 “장병 여러분 고생 하셨습니다”

2015.08.27 |
Now

현재 남북 합의 공동보도문

2015.08.25 |
Hot

인기 분당서울대병원 정진엽 교수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

2015.08.07 |
Hot

인기 선수들과 파이팅!

2015.08.02 |
댓글 TOP 뉴스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