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중 서울에서 가장 싼 값에 아파트를 살 수 있는 시기는 8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부동산114가 최근 3년 동안 서울아파트의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거래가격이 싼 시점은 8월, 비싼 시점은 12월로 나타났다.
8월은 계절적 이사수요가 마무리되고 비수기를 지나면서 거래시장이 위축돼 저가 매물이 나오기 때문이다.
12월은 대개 규제 완화 일몰 전 막바지 수요가 몰리면서 매매가격이 비싼 시점이다.
실제 지난해 8월 서울아파트의 평균거래가격은 4억775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3년 연평균 거래가격(4억4322만원)과 비교해 3547만원 저렴하고 거래가격이 가장 비쌌던 12월과 비교할 경우 6335만원 낮은 금액이다.
지난해에는 서민주거 안정과 주택시장 정상화를 위한 4·1대책과 전·월세 안정화와 매매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8·28대책 발표 영향으로 거래시장이 회복된 시점이다.
하지만 여름 비수기를 피해가지는 못했다. 더욱이 6월까지 적용된 취득세 감면으로 세제혜택 종료 이후 나타나는 거래급감이 7월 두드러졌다.
이후 8월에는 거래급감에 따른 가격 약세가 나타났다.
2012년 역시 MB정부의 마지막 임기를 앞두고 한시적 취득세, 미분양주택 양도세 감면 등이 발표됐고
세제혜택과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으로 12월에는 평균 4억6117만원에 서울아파트가 거래됐다.
이는 연평균 거래금액(4억4579만원)보다 1538만원 비싼 가격이다. 8월은 4억 656원에 매매거래가 이뤄져 12월과 비교해 5461만원 싼 금액에 거래됐다.
2011년에도 1년 중 8월 거래가격(4억3244만원)이 가장 낮았다. 12월은 막바지 취득세 감면혜택을 받기 위한 수요로 평균 4억7869만원에 거래됐다.
"반면 좋은 가격에 매도 할 수 있는 시점은 규제 완화 일몰 전 막바지 수요가 몰리는 연말 12월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