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장들이 올림픽 연계 발전방안 진두 지휘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에 포함되지 않은 강원도 내 일선 시ㆍ군이 `올림픽 효과' 잡기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4일 강원도와 일선 시ㆍ군에 따르면 속초와 양양, 인제, 태백 등 평창올림픽 비(非) 개최지인 설악권과 태백권 자치단체가 태스크포스(TF) 등을 구성해 평창올림픽과 연계한 발전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는 평창올림픽 `소외론'을 극복하겠다는 것으로 대부분 단체장이 직접 챙기고 있다.
속초시는 최근 `2018전략사업' TF를 구성했다. 이는 설악권 숙박시설의 평창올림픽 관람객 전용숙소 지정, 설악파크 외국인 전용 카지노 등을 활용한 설악권 관광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전략 등을 추진하려는 것이다.
양양군도 이른 시일 안에 조직개편을 통해 미래전략과에 2018평창올림픽 연계 전담팀을 설치할 계획이다.
양양군은 이를 통해 양양 국제공항의 동계올림픽 공식 공항 지정, 오색로프웨이 조기 설치, 연어사업 육성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인제군도 올림픽 특수 잡기 구상에 들어갔다. 인제군은 인제오토테마파크 등을 활용하면 올림픽을 전후해 지역의 산업구조와 경제기반을 탄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곧 기구 설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설악권 자치단체는 올림픽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공조체계 강화도 모색하고 있다. 지역관광을 올림픽과 연계함으로써 양양국제공항 활성화, 춘천~속초 고속화 철도 등 지역의 최대 현안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태백시도 올해 연말 이전에 관광문화과에 관광유치전략팀을 설치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올림픽 개최 6~7년을 전후해 태백을 `세계적 고원휴양체험관광단지'로 자리 잡는다는 구상이다.
이 같은 시ㆍ군의 움직임은 올림픽 효과가 단기간 또는 개최지역에만 나타나지 않고 대회 6~7년을 전후해 도 전역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해 올림픽 효과 잡기에 능동적으로 나선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앞서 도는 평창올림픽 개최에 따른 지역별 편중 지원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올림픽과 연계한 7대 원칙과 7개 특화 벨트 조성 방안을 마련하고 시ㆍ군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성공적 올림픽 개최를 위해 민생, 흑자, 균형, 환경, 문화, 평화, 휴먼웨어 등의 비전과 전략을 평창올림픽 7대 원칙으로 정하고 이를 위해 도 전역을 7개 특화 벨트로 나누어 권역별 발전 전략과 접목한다는 것이다.
강원도의 한 관계자는 "도 차원에서는 균형 올림픽 개최라는 원칙을 세우고 도 전역을 7대 벨트로 묶는 발전전략을 세웠다"며 "시ㆍ군의 이 같은 움직임은 SOC 확충, 첨단산업 육성 등의 전략이 조기에 완성돼야 극대화되는 만큼 정부에 SOC 확충을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등 자치단체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