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이버공격 대응책 마련 가속-
청와대는 10일 일부 언론이 보도한 `대통령 외교안보자문위원 대상 해킹 시도`와 관련, 최근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과는 무관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고 밝혔다.
청와대 외교안보라인 핵심 참모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비정기적으로 대학교수, 연구원 등에게 정책소식지를 보내는데 지난 5월 이 가운데 한 명으로부터
`이메일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 같다`는 연락을 받았다 면서 이에 따라 다른 수신자들에게도 주의를 당부했다 고 말했다.
이 참모는 그러나 해킹 시도인지 단순한 바이러스인지 확인할 수 없다 면서 특히 2개월 전에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디도스 공격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보고 있다 고 강조했다.
다른 핵심 관계자도 청와대나 정부 주요기관을 상대로 한 해킹 시도는 수시로 있어 왔다 면서 일부 외교안보자문위원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공격은 심각한 수준은 아니고,
북한과의 관련성도 확인되지 않았다 라고 말했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의 외교안보자문단에 포함돼 있는 한 교수는 지난 5월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실` 명의로 된 이메일을 받았으나
첨부파일의 제목이 의심스러워 이를 열어보지 않고 외교안보수석실에 문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한 외교안보자문위원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그런 메일을 받았으나 열어보지는 않아 피해는 없었다면서
몇 년 전부터 연구원들이나 학자들을 상대로 그런 메일이 종종 들어오고 있다 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번에는 `외교안보수석실`을 사칭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봤다 고 말했다.
그러나 또 다른 자문위원은 그런 메일을 받은 적이 없다 며 요즘 이메일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많아 확인을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큰 문제가 있었던 적은 없다 고 말했다.
청와대는 현 정부 들어 정부기관이나 정부 자문교수들을 상대로 한 사이버테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번 `디도스 사태`를
계기로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모는 국가안보와 관련된 자료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북한의 사이버테러 가능성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고 말했다.
/청와대 자료제공